티스토리 뷰
목차
제주 4·3 사건이란?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그에 따른 민간인 희생을 포함한 국가 폭력 사건입니다. 단순히 지역 내의 폭동이나 폭력 사건으로 보기에는 복잡한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얽혀 있으며,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움직임과 당시 미군정,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이 얽혀 다수의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되었습니다.
특히 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식 도중 경찰의 발포로 민간인이 사망한 사건 이후, 제주도민의 반발이 커졌고, 1948년 4월 3일에는 남로당 제주도당의 주도로 무장봉기가 일어나며 본격적인 무력 충돌이 시작됩니다. 이 과정에서 제주 전역은 군과 경찰, 서북청년단 등에 의해 '빨갱이 소탕'이라는 명목 하에 민간인 학살이 벌어졌고, 수많은 마을이 불태워졌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 따르면, 제주 4·3 사건으로 인한 희생자는 약 3만 명에 달합니다. 당시 제주도 인구가 약 30만 명이었음을 고려하면, 전체 인구의 10%가 넘는 이들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셈입니다. 그중 다수가 여성, 어린이, 노인 등 무고한 민간인이었으며, 많은 이들이 재판 절차조차 없이 억울하게 생명을 잃었습니다.
왜 아직도 중요한가?
제주 4·3 사건은 단순한 과거가 아닙니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의 국가 폭력이 어떤 식으로 국민에게 향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오늘날의 인권과 민주주의가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님을 깨닫게 해줍니다. 또한,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국가의 공식적인 사과와 보상, 그리고 진상 규명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도 그 아픔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야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와 사과가 이루어졌고, 2003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사과하며, "국가 공권력에 의한 과도한 진압"임을 인정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추념사를 하며 "완전한 명예회복"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4·3을 기억한다는 것
제주 4·3 사건은 우리가 다시는 반복해서는 안 될 국가 폭력의 비극입니다.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억울함을 잊지 않는 것은 살아남은 우리가 해야 할 최소한의 책임이자, 정의를 바로 세우는 첫걸음입니다. 4월 3일, 매년 열리는 제주 4·3 추념식은 단순한 기념 행사가 아니라, 역사와 인간의 존엄을 되새기는 시간입니다.
제주 4·3은 '과거의 일'이 아니라 지금도 현재진행형인 진실의 회복 과정입니다. 우리가 기억하고 말할 때 비로소 그 아픔은 치유되고, 다음 세대에게 더 나은 미래를 물려줄 수 있습니다.
✅ 요약 키포인트
- 제주 4·3 사건은 1948년부터 1954년까지 발생한 대규모 국가폭력 사건
- 약 3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 무고한 사람들도 '빨갱이'로 몰려 처형됨
- 정부의 사과와 진상규명은 2000년대부터 시작, 여전히 진행 중
- 매년 4월 3일, 제주에서 공식 추념식 개최
- 과거를 잊지 않고 기록함으로써 더 나은 민주사회로 나아갈 수 있음
관련글보기
제주 4·3 평화공원: 기억과 치유, 평화를 위한 공간
제주 4·3 사건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비극을 어떻게 기억하고 위로할 것인가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 중심에는 **‘제주 4·3 평화공원’**이 있습니다.이곳은 단순한 공원이 아닌, 제주 4·3
exp-zero.com